미세먼지 정화 스마트가로등 개발업체 D사의 혁신조달 성공 스토리
* 배경
경기 북부에 위치한 중소기업 D사는 LED 가로등 + 미세먼지 정화 기능 + 스마트 IoT 센서가 결합된 **‘스마트 미세먼지 가로등’**을 개발했습니다. 하지만 이 제품은 민간 시장에선 "검증되지 않은 신제품"이라 구매처 확보가 어려웠고,기존 조달 체계로는 진입도 불가능했습니다. 그러던 중 ‘혁신제품 시범구매 제도’를 통해 공공조달에 도전하게 되었고, 이것이 대박의 시작이었죠. 혁신조달 시범구매 제도란?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제품을 조달청이 직접 구매해주는 제도로서 기술성은 있으나, 상용화 실적이 부족한 신제품이 대상이고 심사를 거쳐 ‘혁신제품 지정’ → 시범구매 → 대량 구매 연계하는 제도입니다
* D사의 진행 절차 및 납품 성과
1. 제품 개발 및 기술 입증 : 미세먼지 제거 기술, IoT 센서 시스템으로 특허등록을 마무리 한후 시제품 제작 및 성능시험 완료하였으며 실외 환경에서 미세먼지 정화율 60% 이상 입증을 완료 하였습니다
2. 혁신제품 신청 : 제품소개서, 시험성적서, 기술설명 영상 등 제출하여 신청절차를 마쳤습니다
3. 전문가 심사 통과 → 혁신제품 지정의 심사 항목은 혁신성, 공공성, 시장창출 가능성 인데, D사 제품은 **‘스마트도시 건설에 부합’**하기에 공공성 점수가 높은 편이었습니다
4. 시범구매 성사 : 서울시 스마트시티팀과 수원시 환경과에서 시범 설치 요청하고 실증 결과 긍정적 → 후속 구매로 이어졌습니다
5. 납품 및 성과 :
연도 | 기관 | 납품 수량 | 비고 |
2023 | 서울시 | 20개 | 시범구매 |
2024 | 수원시 | 50개 | 본 구매 |
2024 | 부산 에코특구 | 100개 | 시범 → 본 구매 전환 |
총 1년 반 만에 약 8억 원 규모 납품 달성하였고 조달청 공공조달플랫폼 통해 지속적인 구매처 확보가 가능하였습니다
* 핵심 성공요인 !
“혁신조달은 정부가 초기시장 만들어주는 스타트업의 조달 사다리!” 입니다 성공 포인트는 “혁신성 + 실증 가능성 + 공공문제 해결력”입니다. 특히 기존 가로등에 없는 미세먼지 정화기능과 IoT 센서접목, 대기질 개선이라는 공공성 목적을 명확히 하고, 시험성적서, 특허, 기술설명서, 소개영상 등 자료 활용 극대화, 시범구매 유도를 위해 지자체, 공공기관 대상 실증 설득노력, 기관만족도 확보를 통하여 대량 납품 연결 등이 핵심 성공요인 이었습니다. 물론 '혁신 시범구매 제안서' 도 정성을 다해 잘 작성되어야 하구요
한번 도전하시어 귀사의 제2의 성장 판로를 개척하십시요. 끝.
'▶ 공공조달관리사 1등 강사 > - 혁신제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조달관리사] 1등 강사노트 : 혁신제품 (0) | 2025.04.08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