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치유농업 힐링신문/치유농장 힐링키트 1컷

[보도자료] 곤충산업의 시장 규모를 알려드립니다

by 어느 컨설턴트가 남긴 이야기들 2025. 6. 10.
반응형

곤충산업의 시장 규모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미래 먹거리인 곤충의 먹이원 개발과 현장 확산, 기능성 검증‧실용화 연구로 곤충산업을 활성화하고, 국민 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를 중점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0년 곤충산업이 법제화되고 식용곤충 10종이 식품 원료로 등록되면서 * 곤충산업 시장 규모는 2015년 약 300억 원에서 2020년 414억 원까지 성장했으나 코로나19 시기를 거치면서 성장 추세가 완만해졌다. 2023년 곤충업 개소 수는 3,013*, 1차 산물 판매액** 473억 원으로 2022년보다 각각 5.4%, 5.2% 증가했다. 그러나 최근 5년간(2019~2023) 연평균 증가율은 4.4%, 3.9%에 머물러 있다 * 곤충업 개소 수: (19) 2,535  (20) 2,873  (21) 3,012  (22) 2,860  (23) 3,013,  ** 1차 산물 판매액: (19) 405억 원 → (20) 414  (21) 446  (22) 449  (23) 473,  농업 현장에서는 아직 곤충과 곤충 산물이 낯설고, 체험 부족 등으로 판로 개척이 쉽지 않아 산업 성장세가 둔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농업인과 산업체는 이를 타개할 방안으로 곤충 먹이용 사료 지원, 수요처 확보, 소비자 인식변화를 가장 중요한 과제로 꼽고 있다. 향후 지속 가능한 곤충의 가치, 기능성 등 우수 연구 성과와 현장 적용 사례 등을 홍보하고 또한, 곤충의 날 등과 연계해 다양한 곤충 식품을 소개하고, 곤충 기능성 연구 결과를 의학 관련 학회에서 발표해 소비자, 산업계는 물론 의학계까지 홍보를 확대하고 산업 저변을 키워나갈 계획이다. 한편정부는 제4차 곤충‧양잠산업 육성 종합계획(2026~2030)을 수립 중이다종합계획 비전목표추진 전략 등 체계를 마련하고 세부 추진 과제 설정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12월에는 최종 계획을 도출할 예정이다.

(출처: 농촌진흥청 보도자료). 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