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니어 컨설팅/- 최신 시니어 필독 정보 모음

[반려돌] 제1편 : 인류와 돌의 역사 Q. 돌공예의 역사적 가치는?

by 어느 컨설턴트가 남긴 이야기들 2023. 8. 1.
반응형

[반려돌] 

제1편 : 인류와 돌의 역사 

Q. 돌공예의 역사적 가치는?

100만 년 전의 원시시대, 구석기, 신석기 시대의 많은 유적들에서 나오는 여러 가지 형태의 석기들을 보면 석기가공의 오랜 역사를 알 수 있다.

돌공예는 여러 가지 돌을 재료로 하여 한 점 한 점 쪼아 다듬어 생활도구들을 맵시 있고 쓸모 있게 만드는 공예의 하나의 형식으로 볼 수 있는데, 돌은 일단 가공해 놓으면 잘 깨어지지 않고 오랫동안 쓸 수가 있으며 쓰면 쓸수록 그 품격이 높아진다. 또한 자연계의 아름다운 색과 무늬를 오래 보존하는 장점이 있다.

고조선시대 부여의 붉은옥, 진국의 구슬가공 기록을 보면 사람들이 금, , 비단보다도 구슬을 더 귀한 재보로 삼았던 것이 확실하며 이를 보면 돌가공과 돌공예 기술이 상당히 발전하고 있었음을 잘 알 수 있다.

삼국시대는 어떨까?

고구려에서는 구슬가공이 더욱 세련되어 귀족들의 관모에까지 구슬이 장식되었고 집 안에서 나온 티 없이 맑은 옥돌 잔은 우아한 자태를 보인다.

백제, 신라에서도 구슬가공이 성행하였는데, 구슬로 목걸이, 팔찌, 비녀, 동곳, 가락지, 단추, 띠장식 등 치렛거리들과 함께 그릇들이 제작되었다.

조선향토대백과에 따르면, 발해 및 통일신라시대에도 돌제품들이 우수한 공예품으로 제작되어 당나라에까지 수출되었다고 하는데, 고려시대에 이르러 돌공예는 더욱 다채로워졌고 조선시대에 이르러 더욱 다양하게 발전하였다고 한다.

 
 
반응형

댓글